본문 바로가기
건강

화이자 모더나 백신 부작용 심근염 심낭염 증상과 발생빈도는

by 공유해영 2021. 7. 13.
반응형

최근 미국 질병 통제예방센터 CDC에서 화이자와 모더나 등 mRNA계역 백신을 맞았을 때 생기는 심근염이나 심낭염 증상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서 발표했는데요. 해당 내용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심근염과 심낭염 증상이나 대처 방법을 정리해 보면요.

심근염

 

심근염 증상과 대처 방법

말 그대로 심장의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요. 심근염은 이 근육의 기능에 영향을 미쳐서 심장이 펌핑하는 기능을 저할할 수도 있고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보이는 부정맥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은 흉통, 피로, 숨가쁨,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특별한 조치 없이 자연 치유되는데요. 심각한 경우 심장에 혈전이 형성되어 뇌졸중이나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어서 심한 경우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서 진찰을 받아 보는게 좋겠습니다. 

 

심근염이 발생하게 되는 경로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사용하는 아데노바이러스 계열같은 감기 바이러스를 통해서도 심근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구요. 코로나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등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박테리아, 기생충, 진균류 등 여러 경우를 통해서 면역 체계가 약화된 사람들에게 심근염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낭염 증상과 대처 방법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얇은 주머니 같은 조직인 심낭이 붓거나 염증이 생기는 경우를 말하는데요. 날카로운 흉통과 여러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심낭염 역시 경미하게 발생하며 별도의 치료 없이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일반적인 증상으로 복부, 다리 부종, 기침, 피로감, 미열, 심장이 빨리 뛰는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증상이 흉통인데요. 날카롭게 찌르는 느낌이 들거나 압박감이 들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증상 외에도 추가적인 증상이 발생하거나 심해지는 경우 의사를 통해 진단을 받아 보는게 좋습니다.

백신 부작용

 

심근염 심낭염 걱정할 정도일까

미국 기준으로 코로나 백신 접종이 1억 7천 7백만명이 1회 이상 이루어졌는데요. 2021년 6월 기준으로 이 두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971건이 접수되었습니다. 대상은 주로 30대나 그 보다 젊은 인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요. 특히, 젊거나 남자인 경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휴식을 취하는 경우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구요. mRNA계열의 백신을 2차 접종했을 경우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백신을 맞은 뒤 바로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며칠 뒤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는데요. 대부분, 증상을 회복해서 일상생활로 복귀했다고 합니다. 미국같은 경우는 12세 이상에 대해서도 접종을 시작해서 젊은 사람들 대상으로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어서 참고할만한 자료가 더 많은 것 같네요.

화이자 모더나

 

확률적으로는 0.001% 정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자연발생비율은 이보다 10배 이상은 높은 수준인데요. 발생하는 빈도가 높은 젊은 남성의 경우 mRNA 계열의 백신을 맞고 난 뒤에는 1~2주 정도 과격한 운동을 삼가는게 좋겠습니다. 미국 CDC에서는 반복적으로 하는 이야기지만 이런 위험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백신을 맞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현저히 크기 때문에 12세 이상에 대해서도 꾸준히 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발생빈도나 증상으로만 봐서는 크게 걱정할 정도는 아니지만 아주 적은 확률이지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기 때문에 백신 접종 이후 2주일 정도는 심한 운동은 삼가고 주요 증상이 발생할 경우 의료진의 진단을 받아야겠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였다면 로그인 필요 없는 공감 버튼 클릭 잊지 마시구요. 또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