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제의 FDA 승인 소식으로 바이오젠 주가가 치솟고 있는데요. 문제가 될만한 소지로 인해서 이슈가 있었는데요. FDA는 치료 이점으로 인해서 가능한 부작용이 충분히 상쇄하고도 남음이 있으면 승인을 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바이오젠에서 승인 신청한 이 아두헴(Aduhelm)이라는 약물이 그 범주에 들어서 승인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알려 진 부작용 등 해소할 문제가 꽤 있어 보입니다.
아두카누맙(Aducanumab) 작동 원리와 부작용
알츠하이머 혹은 치매로 알려진 이 질병에 관여하는 성분으로 알려진 것이 베타 아밀로이드인데요. 아두카누맙 혹은 상품명 아두헴의 원리는 이 베타 아밀로이드에 결합해서 제거해 줌으로써 치매 진행을 늦추거나 개선시키는 역할을 해 주는 것입니다.
문제는 간단하게 말해서 EMERGE와 ENGAGE 두 그룹으로 동일한 조건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했는데 EMERGE는 위약그룹에 비해 23%의 개선효과를 보였는데 ENGAGE 그룹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FDA에서 이렇게 두 그룹으로 나눠서 임상을 진행하라고 하는 이유는 어느 하나에 우연히 효과가 발생해서 승인을 받아 버리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인데요.
일반적으로 FDA는 당연히 두 가지 경우 모두에 효과를 보이는 경우에 대해 승인을 해 줍니다. 그래서 2020년 11월에 있었던 자문위원회에서는 압도적인 반대 투표를 받으면서 사업이 접히는가 했는데요. 이 때 바이오젠의 수석 부사장이 등판해서 EMERGE와 ENGAGE 조건 차이에 대해 역설하고 빌리 던 박사 등의 알츠하이머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 필요성에 대한 어필에 원조를 받아 승인을 받게 됐습니다.
알려진 부작용으로는 뇌스캔시 보이는 부작용인 ARIA(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ies)를 보이기도 하구요. 이 경우 두통, 발작, 몽롱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혈관 부종, 두드러기같은 과민 반응이 나올 수 있고 설사, 혼란, 섬망, 방향 감각 상실 등의 부작용도 보고되었습니다.
아직 끝난 게 아니다
이런 뇌부종, 뇌출혈 등 치명적인 부작용을 내포하고 있어서 이 약물을 투여한 뒤에도 정기적으로 MRI를 받아야 되는 등 치료에 들이는 금전적, 시간적 수고가 만만치 않은데요. FDA는 승인 후에도 임상 결과에 대해 계속 모니터링을 해서 보고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시제품이 실제 판매가 되더라도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경우 바로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바이든이 정권을 잡으면서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았던 가족이 있던 탓에 바이든 대통령이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지원할 것이라는 소문이 있었는데요. 정권의 입맛에 맞춰 성급하게 승인을 내준게 아니었으면 좋겠네요. 치료 효과도 아직은 병의 진행을 늦추는데 기여할 뿐 완벽하게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이구요. 한발짝 더 나아간 내용이 나오면 또 돌아오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필요 없는 공감 버튼 클릭 잊지 마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자 모더나 백신 부작용 심근염 심낭염 증상과 발생빈도는 (0) | 2021.07.13 |
---|---|
코로나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변이가 뭐에요 (2) | 2021.06.23 |
2021년 말 화이자에서 코로나 치료제 나올수도 (0) | 2021.05.31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화이자 백신 차이점 (1) | 2021.05.27 |
잔여백신예약 네이버 카카오톡에서 바로 된다 (0) | 2021.05.25 |
댓글